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353

React - eslint 세팅하기 eslint 를 세팅을 하였다. 하면서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게 되었다.prettier 가 한 사람이 짠 것 같은 코드 규칙을 적용하는 거라면,eslint 는 여러 명이 협업할 때 잘못된 코드(중복, typo) 등을 고칠수 있도록 도와준다.이친구가 없다면 배포할때에서야 잘못된 점들을 알아챌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프로젝트의 동반자같은 녀석이다. 먼저, 최신버전을 다운받았다.하지만 리액트 플러그인과 호환성이 안맞는 부분이 있어 9버전에서 8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 하였다.(무조건 최신보다는 안정성이 확인되고 업그레이드 하는 것을 추천) eslint.config.js import eslint from "@eslint/js";import tseslint from "@typescript-eslint/eslint-plu.. 2025. 2. 18.
google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5. 2. 17.
Figma - 피그마에 폰트 추가하기 피그마 데스크탑 앱에 원하는 한글 폰트가 없어 추가를 하려고 한다 😁  1. 일단 폰트를 다운받아주자 (TTF 혹은 OTF 확장자의 폰트 파일만 가능)나는 귀여운 삼립호빵체를 받아주었다 (호호)  2. 맥북에 폰트 파일 설치하기spot light 를 키고 font book 을 검색해보자** font book 은 맥북의 폰트 모음 폴더라고 생각하면 된다   3. font book 안에 폰트 넣어주기맥북에 폰트 설치가 되었다  4. 피그마 데스크탑 앱에서 사용하기잘 나온다! 2025. 2. 9.
React - 구글 스프레드 시트 API 연동하기(2) - 프로젝트 설정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저장한 데이터를 API 로 받아 리액트에서 호출하여 보여주려고 한다그러려면 구글에서 제공하는 구글 스프레드 시트 API 를 사용해야 한다.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? 일단 오버뷰 단위로 정리 한 번 해보자 (적어도 내가 뭘하는지는 알아야 하니까)지난 포스팅에서는 구글 콘솔에서 할 일을 먼저 정리해보았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젝트 설정을 해보려고 한다.자, 머리에 그려졌으면 따라와보시길 ! 1. 구글 콘솔에서 할일 1) 서비스 계정 만들고 키 발급 받기 2) 구글 스프레드 시트 API 페이지 라이브러리 활성화 시키기 3) 구글 스프레드 시트 : 서비스 계정 메일 주소를 추가하기 React - 구글 스프레드 시트 API 연동하기(1) - 구글 콘솔 설정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저장한 데이터를.. 2025. 1. 30.
React - 구글 스프레드 시트 API 연동하기(1) - 구글 콘솔 설정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저장한 데이터를 API 로 받아 리액트에서 호출하여 보여주려고 한다그러려면 구글에서 제공하는 구글 스프레드 시트 API 를 사용해야 한다.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? 일단 오버뷰 단위로 정리 한 번 해보자 (적어도 내가 뭘하는지는 알아야 하니까)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콘솔에서 할 일을 먼저 정리해보았다. 자, 머리에 그려졌으면 따라와보시길 ! 1. 구글 콘솔에서 할일 1) 서비스 계정 만들고 키 발급 받기 2) 구글 스프레드 시트 API 페이지 라이브러리 활성화 시키기 3) 구글 스프레드 시트 : 서비스 계정 메일 주소를 추가하기 2. 프로젝트에서 할일 1) 구글 스프레드 시트 라이브러리 설치 2) 라이브러리 사용해서 API 호출해보기  React - 구글 스프레드 시트 API 연동하기.. 2025. 1. 14.
HTML - 공식문서 1.8 HTML vs XML syntax HTML 스펙 문서를 읽고 간추리고 번역하고 정리해 보았다(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~) 1.8 HTML vs XML syntax 문서와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추상 언어와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자원들(DOM)의 인터랙션을 위한  API 를 정의해보자.    이 자원들(in-memory representations)은  DOM HTML  혹은 DOM  이라고 짧게 줄여 말할 수 있다. 이러한 자원들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콘크리트 syntax(구문)들 중 2가지를 소개해보겠다. 첫 번째로 소개할 형식은  HTML 이다. 이 구문는 대체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포맷이고, 레거시 브라우저들과도 호환이 가능하다. [text/html] 와 같은 mime type 을 네트워크 헤더에 포함시킨 문서.. 2025. 1. 7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