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353 Network - RESTful API 란 오늘은 Restful api 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다. 업무적으로 하던 것들이 개념적으로 좀더 가깝게 다가온 것 같다 Network - RESTful API 란 REST API 란 REST 아키텍쳐 기반으로 API를 구현한 것으로 클라이언트 -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를 보내주는 인터페이스이다 (데이터 통로 느낌) ** 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는 API 작동 방식에 대한 조건을 부과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이 아키텍처로 만들어진 api들은 무상태와 캐싱을 지원한다 • 무상태 - 이전 요청과 상관없이 서버 - 클라이언트가 통신 (모든 요청은 독립적) • 캐시 - 통신 속도 (응답시간)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 캐싱을 지원 REST API 특징 1. URI 를 사용한다 (고.. 2024. 1. 20. Network - HTTP 살펴보기(2) (Method / Status Code) 지난 시간에는 HTTP 요청과 응답 구조, 그리고 헤더를 살펴보았다 오늘은 HTTP 두번째 포스팅으로 메소드와 상태코드에 대해 공부해 보려고 한다! 1. HTTP 프로토콜의 구성요소인 요청 / 응답 / 헤더 의 이모저모 살펴보기 2024. 1. 18. Next.js - 서버 컴포넌트에서 useContext() 사용하기 넥스트js는 서버컴포넌트와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나뉘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React 기반의 훅들을 사용할 때는 한번더 생각해보아야 한다 오늘은 useContext() 를 어떻게 사용하는 지 알아볼 것이다 Next.js - 서버 컴포넌트에서 useContext() 사용하기 리액트에서 전역 변수를 전달하기 위해 redux / useContext 를 사용하였다 Next.js에서 useContext 를 사용하려고 하니 한가지 제약이 있었다 You are using createContext in a Server Component but it only works in Client Components → 바로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createContext in a Server Compo.. 2023. 12. 31. Next.js - Route 로 관리하는 모달 만들기 (URL 히스토리) updated 01/13/24 Next.js 로 포트폴리오 사이트를 만들면서 Route 로 관리되는 모달 (Route as Modal) 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리액트로 같은 기능을 구현할 때 useHistory 로 구현하였던 기억이 있어 비슷하게 헤매일 줄(?) 알았는데 생각보다 훨씬 간단하였다 (머 - 쓱 😅) Next js 는 그만큼 라우터에 진심이라는 것을 다시한번 느끼며 그때의 감동을 정리해보았다 Next.js - Route 로 관리하는 모달 만들기 (URL 히스토리) 일단 처음 살펴봐야할 개념이 있다. Intercepting Routes 라는 개념이다. 이 친구에 대해 간단히 정리를 하면 원래의 주소의 화면과 다른 라우트를 가진 컴포넌트를 동시에 보여줄 수 있는 기능이다 This allows yo.. 2023. 12. 29. Network - HTTP 살펴보기 (1) (Request / Response / Header) updated 03/07/24 HTTP 프로토콜의 속성들을 두 포스팅으로 나눠 정리해보았다 오늘은 그 첫번째 포스팅이다. 공부해보도록 하자 1. HTTP 프로토콜의 구성요소인 요청 / 응답 / 헤더 의 이모저모 살펴보기 이동하는 웹사이트의 주소가 https 일 때만 도메인 주소를 남깁니다. https://devbirdfeet.tistory.com/ 이동하는 웹사이트 주소가 https 일 때 주소를 남깁니다. https://devbirdfeet.tistory.com/214 웹사이트가 같을 때 주소를 남깁니다. 예를 들어: https://devbirdfeet.tistory.com/214 이라는 주소에서 다른 웹사이트로 이동한다면, https://devbirdfeet.tistory.com/ 로 이동할 때만 주.. 2023. 12. 7. 자료구조 - 스레드 트리 스레드 트리 - 정해진 순회 방법에 따라 방문 순서를 유지하는 스레드라는 포인터를 사용 (스레드 포인터를 갖는 이진트리) - 스레드는 오른쪽(노드의 후속 노드) / 왼쪽(노드의 선행 노드) 두가지가 있다 - 스레드 없이 순회를 그냥 하게되면 스택에 저장해서 관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해서 사용하기 시작되었다 - 전위 순회, 중위 순회 , 후위 순회 2. 스레드 트리 구현 struct TNode { int info; // 데이터 TNode left; // 왼쪽 자식 포인터 TNode right; // 오른쪽 자식 포인터 TNode right_thread; // 왼쪽 스레드 포인터 TNode left_thread; // 오른쪽 스레드 포인터 } - 중위 순회 연산 // 루트를 가리키는 포인터(firstin).. 2023. 12. 5. 이전 1 ··· 3 4 5 6 7 8 9 ··· 59 다음 반응형